top of page
박경률, 엄유정
A-Park_Eom01.jpg

파란 얼굴과 검은 작약

Blue Face and Black Peony


박경률, 엄유정

Park Kyung Ryul and Eom Yu Jeong


2023. 8. 16 Wed ~ 2023. 9. 17 Sun

전시소개

2023년 8월 16일부터 9월 17일까지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에서 열리는 박경률, 엄유정 2인전인 <파란 얼굴과 검은 작약>의 전시명은 박경률 작가와 엄유정 작가의 그림으로부터 빌어온 단어들이다. 이 전시의 제목은 직관적으로 특정 이미지를 떠오르게 한다. 관객이 전시장에서 실제 체감하게 되는 이미지는 이 제목으로부터 미리 인식된 이미지와의 틈을 만든다. 또한 두 작가는 ‘드로잉’이라는 장르적 특징을 각자의 방식으로 해석하여 본 장르에 대한 확장된 가능성과 힘을 보여준다.

두 작가의 이미지들은 서로 다른 지점에서 출발한다. 즉 박경률은 마치 자동기술법처럼 상상으로부터 떠오르는 이미지를 즉흥적이고 연속적으로 다루고 있는 반면, 엄유정은 구체적인 대상을 모델로 하여 이미지화하고 있다. 박경률의 드로잉은 주로 유화물감 작업이 가능한 질감과 두께가 있는 유화지 혹은 캔버스천 위에서 행해진다. 이 작가의 여느 거대한 캔버스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색과 이미지들로 구성된다. 작가는 주로 회화 설치를 위한 공간 구성의 한 부분으로서 그려지기도 했던 드로잉들을 회화 작업의 과정 속에서 파편화된 부분들을 별도로 담아내는, 또 다른 회화의 연장이라고 보고 있다. 엄유정의 드로잉은 종이와 선을 다룬다는 점에서 그 장르적 특성이 명확하다. 하지만 이 작가의 캔버스 회화 작업과정 역시 실제 풍경을 과감하게 생략해가면서 가장 인상적인 특징을 잡아내고 있으며, 절제된 색과 붓질로 화면을 완성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작가가 회화를 다룰 때의 대상을 대하는 태도가 드로잉을 다룰 때의 태도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박경률은 자신의 상상으로부터 드러나는 모호한 이미지와 여기서 발생하는 감각을 다양한 요소로 구체화한다. 유학시절(2017년 전후)을 기점으로 작가는 캔버스 안에서 만들어지는 이미지를 실제 화면 밖에서 물리적 덩어리를 가진 형상으로 구현하면서 캔버스를 포함한 설치형식의 회화로서 특정 환경을 구축하는 기법을 실험해왔다. 이번 전시에서 보여주는 작품은 박경률이 여느 전시에서는 보여주지 않고 있었던 독립적인 드로잉들로 구성된다. 작가는 면으로 지정되는 화면을 부드럽게 퍼져나가는 색감으로 구현하고 즉흥적인 선과 면, 점 등을 그려나가며 화면을 구성하는데, 이는 평면으로부터 공간적 감각으로 변환시키는 효과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들은 거대한 캔버스나 공간을 점유하였던 회화 이전의 보다 원초적인 풍경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엄유정은 대상을 관찰하고 드로잉과 페인팅으로 재현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주로 인체, 풍경, 식물 등을 소재로 실제 장면을 관찰하거나 기억하여 이를 재현하는 과정에서 과감한 생략을 시도하는 동시에 가장 특징적인 지점을 표현해냄으로써 누구나 공감하는 특징을 강조하는 독특하고 생동감있는 화면을 만들었다. 이번 전시에서 엄유정은 무채색 혹은 단색 톤의 식물 이미지를 대상으로 한 드로잉 시리즈를 선보인다. 화면에는 식물을 선으로 치환하여 그 구조를 추적하며 화면의 중앙, 혹은 전체를 점유한다. 작가가 구사하는 선은 휘어지고 늘어지고 흐들거리지만 강렬하다. 또한 이미지를 둘러싼 빈 여백으로부터 공허함보다는 서정적인 정서가 진하게 우러나온다. 작가가 그려낸 식물들은 특정 대상을 바라보기부터 시작하고 있지만, 대상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추상성을 끌어내고 있는 것이다.

작가 약력

박경률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회화 작가이다. 작가는 홍익대학교에서 회화과 학부 및 석사 졸업, 2017년에 첼시 예술 디자인 대학에서 회화와 드로잉을 전공, 석사과정을 마쳤다. 박경률은 서울에서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커먼센터, 두산갤러리 등과 같은 실험적인 공간을 비롯하여 현대 갤러리, 백아트, 성북 미술관, 일민미술관, 북서울시립미술관 등 유수 미술관 및 갤러리 등에서 선보였다. 또한 영국, 캘리포니아, 자카르타, 베이징, 홍콩 등 국내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경기도문화재단과 서울문화술재단 등으로부터 기금 선정과 2018년 송은예술대상 최종 후보 명단에 오르는 등 다양한 기금 및 기관 공모에도 선정되었다. 국내 레지던시 기관인 국립고양창작스튜디오, 난지창작스튜디오, 인천아트 플랫폼을 비하여 뉴욕 듀산레지던시와 18th 스트리트 아트센터 레지던시(LA) 등에 선정되었다.

엄유정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 중인 회화 작가이다. 2009년 홍익대학교를 졸업하였고 메릴랜드 인스티튜트 칼리지에서 exchange program에 참여한 바 있다. 작가는 리스트스 아트스페이스(Listhús Art space, 아이스랜드), 올라프피오르(Olafsfjordur , 아이슬란드), 갤러리팩토리(서울), 학고재디자인 | 프로젝트스페이스(서울)와 등의 기관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또한 코즈펠트(Coesfeld, 독일 & 서울), 아시아문화전당(광주), D뮤지엄(서울), 문화역 서울 284(서울), 대전미술관(대전 한국), 금호미술관(서울) 등의 그룹전에 초대되었다. 작가는 서울문화재단, 한국 문화예술위원회 등이 주관하는 기금에 선정되었고, 청주창작스튜디오, 경기창작 스튜디오 등 국내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이스루스 아티스트레지던시 (아이슬랜드)와 글렌피딕 아티스트 레지던시(스코틀랜드) 등 해외 레지던시에 선정되었다.

About Exhibition

The exhibition name of "Blue Face and Black Peony," a two-person exhibition of Park Kyung Ryul and Eom Yu-jeong, held at Space Willing N Dealing from August 16 to September 17, 2023, is words borrowed from paintings of these two artists.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reminds the audience of a certain image intuitively. The image that the audience actually feels in the exhibition space creates a gap with the image recognized in advance from this title. In addition, the two artists interpret the characteristic of "Drawing" in their own ways to show the expanded possibilities and power of this genre.

The images of the two artists start from different points. In other words, Park Kyung Ryul improvises and continuously deals with images emerging from imagination improvising according to the flow of consciousness, while Eom Yu-jeong models specific objects. Park’s drawing is mainly done on paper with texture and thickness that can be used for oil painting or the cloth without canvas frame. Like any large canvas by this artist, it is composed of various colors and images. The artist sees the drawings, which were mainly drawn as part of the space composition for painting installation, as another extension of painting that separately captures fragmented parts in the process of painting work.

Eom Yu-jeong's drawing has clear genre characteristics in that it deals with paper and lines. However, the artist's canvas painting process also captures the most impressive characteristics by boldly omitting the actual landscape, and completes the screen with understated colors and brush strokes. These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 artist's attitude toward the object when dealing with painting is not different from her attitude when dealing with drawing.

 

Park Kyung Ryul embodies the ambiguous images revealed from her imagination and the senses arising from it into various factors. Since studying abroad (around 2017), the artist has been experimenting with building a specific environment as an installation-type painting including canvas, embodying images created inside the canvas into shapes with physical lumps outside the screen. The works shown in this exhibition consist of independent drawings that Park Kyung Ryul had not shown in any other exhibition. The artist implements the screen designated as a surface with a smoothly spreading color and constructs the screen by drawing improvised lines, plane, and dots. This process creates the effect of transforming the two-dimensional plane into a three-dimensional spatial sense. These are more primitive landscapes before the painting, which occupied huge canvases or spaces.

 

Eom Yu-jeong has been engaging in the process of observing and reproducing subjects through drawing and painting. Mainly focusing on human bodies, landscapes, and plants, she attempts bold omissions while emphasizing the most characteristic aspects, creating unique and vibrant scenes that resonate with everyone. In this exhibition, Eom Yu-jeong presents a drawing series featuring achromatic or monochromatic plant images. The plants are replaced with lines, tracing their structures and occupying the center or the entire screen. The lines are bent, stretched, and meandering, yet intense. Moreover, from the empty margins surrounding the images, lyrical emotions emerge rather than emptiness. While the artist begins by looking at specific subjects, the drawn plants bring out their potential abstraction.

Artists (Full verion of CV attached)

Park Kyung Ryul is a painter based in Seoul. The artist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with an undergraduate and master's degree in painting, and completed her master's degree in painting and drawing at the Chelsea College of Art and Design in 2017. Park has shown experimental spaces such as Space Willing N Dealing, Common Center, and Doosan Gallery in Seoul, as well as leading art galleries and museums such as Hyundai Gallery, Back Art, Seongbuk Museum, Ilmin Museum of Art, and Seoul Museum of Art. It is also continuing its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tivities in the UK, California, Jakarta, Beijing, and Hong Kong. It was selected for various fund and institutional opencall including funds from th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and the Seoul Cultural Art Foundation and the final candidate list for the Songeun Arts Awards in 2018. As well as the domestic residential institutions such as Goyang National Creative Studio, Nanji Creative Studio, and Incheon Art Platform, she was selected to the Dusan Residency of New York and the 18th Street Art Center Residency (LA).

 

Eom Yujeong is a painting artist based in Seoul. She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 in 2009 and participated in the exchange program at Maryland Institute College. The artist has held individual exhibitions at institutions such as Listhuis Art Space (Iceland), Olafsfjordur (Iceland), Gallery Factory (Seoul), Hakgoje Design | Project Space (Seoul). In addition, she was invited to group exhibitions such as Coesfeld (Germany & Seoul), Asian Cultural Center (Gwangju), D Museum (Seoul), Culture Station Seoul 284 (Seoul), Daejeon Art Museum (Daejeon), and Kumho Art Museum (Seoul). The artist was selected for funds organized by the Seoul Cultural Foundation and the Korea Culture and Arts Council, and was selected for overseas residency programs such as Island and Glenfiddic artist residency (Scotland), as well as domestic residency programs such as Cheongju Creative Studio and Gyeonggi Creative Studio.

WORKS

(대표)엄유정_Peony, Gouache on paper, 48x36cm, 2022(2).jpg
(대표)엄유정_Plant, Scotland, Pencil on paper, 42x29.5cm, 2022(2).jpg
엄유정_Plant, Acrylic, gouache on paper, 48x36cm, 2022(4).jpg
엄유정_Plant, Acrylic, gouache on paper, 43.2x35.5cm, 2021(2).jpg
엄유정_Plant, Scotland, Marker on paper, 42x29.5cm, 2022(1).jpg
엄유정_Peony, Acrylic on paper, 43.2x35.5cm, 2021(1).jpg
엄유정_Peony, Acrylic on paper, 43.2x35.5cm, 2021(3).jpg
엄유정_Plant, Scotland, Pencil on paper, 42x29.5cm, 2022(1).jpg
엄유정_Plant, Scotland, Marker on paper, 42x29.5cm, 2022(4).jpg
엄유정_Plant, Scotland, Marker on paper, 42x29.5cm, 2022(3).jpg
엄유정_Plant, Scotland, Marker on paper, 42x29.5cm, 2022(2).jpg
엄유정_Plant, Marker, color pencil on paper, 43.2x35.5cm, 2021.jpg
엄유정_Face, Acrylic, gouache on paper, 35.5x27.9cm, 2020.jpg
(대표)박경률_Vulnerable painting #186, Oil on paper, 40.5x32cm, 2019.jpg
박경률_Ideal group of sculptures(Vulnerable painting #69), Oil on paper, 42x56cm, 2017.jpg
박경률_Measuring fatigue(VP #74), Oil on paper, 31x41cm, 2017.jpg
박경률_Vulnerable painting #97, Oil on paper, 30x21cm, 2017.jpg
박경률_Vulnerable painting #84, Charcoal, oil on paper, 40x30cm, 2017.jpg
박경률_Vulnerable painting #139, Oil on paper, 30x21cm, 2017.jpg
박경률_Vulnerable painting #59, Oil on paper, 56x42cm, 2017.jpg
박경률_Vulnerable painting #18, Charcoal, oil on paper, 35.7x25.4cm, 2017.jpg
박경률_Vulnerable painting #167, Oil on paper, 40x29.8cm, 2020.jpg
박경률_Vulnerable painting #136, Oil on paper, 30x21cm, 2017.jpg
박경률_Vulnerable painting #105, Oil on paper, 33x24cm, 2017.jpg
박경률_Vulnerable painting #103, Oil on paper, 33x24cm, 2017.jpg
박경률_Vulnerable painting #00, Charcoal, oil on paper, 24x30cm, 2019.jpg

VIEWS

4500px_DSC00356_1.jpg
4500px_DSC00358_1.jpg
4500px_DSC00359_1.jpg
4500px_DSC00357_1.jpg
4500px_DSC00364_1.jpg
4500px_DSC00363_1.jpg
4500px_DSC00360_1.jpg
4500px_DSC00361_1.jpg
4500px_DSC00365_1.jpg
4500px_DSC00362_1.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