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A-KimJiye01.jpg

옷자락, 흔들리는 뼈

Swaying Cloth, Trembling Bones
 

김지예

Kim Jiye


2024. 8. 15 THU ~ 2024. 9. 15 SUN

​후원 : 서울문화재단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에서는 2024년 8월 15일부터 9월 15일까지 김지예 작가의 개인전 1부를 진행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10여 점의 부조 및 환조 형식의 신작 도자 작업을 소개한다. 작가는 흙물(slip)에 담궈낸 일상 의복 등을 굳힌 후 구워내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 흙으로 조형한 형태를 불에 구워 단단한 제형을 만들어내는 일반적 도자 작업과는 달리, 김지예는 실제 존재했던 오브제를 사라지게 하는 방법으로서 흙과 불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는 불의 속성을 매개로 하여 원래의 옷 자체는 소멸하고, 흙을 매개로 그것이 존재했던 흔적 혹은 자국만을 남기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김지예는 부조와 환조 등 조각적 형식을 차용한다. 그는 대부분의 전시 작업을 벽면에 설치하는데 이 중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띄운 상태로 설치한다. 벽면에 설치된 작업들, 즉 부조의 경우 작가는 자신이 입던 옷 중에서 골라 원하는 모양을 유지하여 구워진다. 굽는 과정에서 원래의 천은 모두 -불의 고열에 의해 재조차도- 연소되어 사라지는 현상이 생긴다. 이는 자신이 평소에 입었던 작가의 의복에 대한 모든 서사를 휘발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 의복은 인간의 신체를 대변하기도, 상징하기도, 포장하기도 한다. 의복이라는 고유의 성격이 그러하듯 김지예의 작업에서 드러나는 흔적으로서의 도자 매체는 원본과 기능이 삭제된 채 존재의 부재를 통한 존재의 증명을 만들어냈다.

천장에 매달린 환조 형식의 작업은 천, 종이, 말린 식물, 코코넛 섬유 등 작가가 채집한 다양한 오브제들을 쌓아 올린 조형 작업에서 출발했다. 아슬아슬한 조형물은 흙물과 함께 가마 속으로 들어간다. 이들이 구워지는 동안 원래의 뼈대가 된 오브제들이 사라지는 순간, 남겨진 얇은 도자 부분은 전체 오브제들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무너져내리게 된다. 무너진 모습은 실패의 흔적이지만 또한 우연히 만들어지게 된 예상치 못했던 새로운 조형이기도 하다. 이에 작가는 자신이 빚은 흔적만이 남겨진 일종의 무덤인 동시에 새로운 생명을 만들어낸 인큐베이터를 상징한다고 말한다.

김지예는 이 전시에 앞서, 부드럽거나 매끄러운 그리고 연약한 표면을 지닌 촉각적 오브제들을 연출하곤 했다. 최근 전시에서는 단단한 메탈(스테인리스)에 지탱하여 결합된 얇고 연약한 도자기 형식의 조형물로 제시하기도 했다.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에서의 이번 개인전에 이어 2부는 2024년 12월 중에 오시선(OSISUN)에서 개최한다. 2부에서는 지지대의 역할을 하곤 했던 스테인리스 부분이 천, 금속 등 다른 재료와 결합한 형식 혹은 단독으로 존재하는 모양새를 함께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형식으로부터 새롭게 발생하는 또 다른 조형적 메시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WORKS

A-KimJiye03.jpg
A-KimJiye02.jpg

VIEWS

bottom of page